Chapter 2 : Two trends in Modern Psychology (요약)

 

This motif runs throughout the psychoanalysts' theories at all levels. (17p)

이 동기는 19세기 후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생철학(Philosophy of Life)의 동기를 말한다. 이 생철학의 동기를 생물학적 생이 철학 체계에서의 중심을 차지, 의식에 대한 불신, 객관적 사회 경제 범주를 주관적 심리적 생태적 범주로 대체하는 것으로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Nevertheless, a fairly widespread opinion has it that, notwithstanding the faultiness and untenability of its basic ideological motif, psychoanalysis still does contain a sound, scientifically valuable core, which is, namely, its psychological theory. (17p)

프로이트의 이론은 부르주아 세계의 붕괴 및 퇴폐의 징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프로이트주의의 기본적인 이데올로기적 동기는 역사에 대한 두려움, 심연의 유기체에서 사회·역사적 측면을 초월한 세계를 추구하는 현대 부르주아 철학의 동기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런 결점에도 불구하고 정신 분석학의 심리학적 이론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생각의 지지자들은 이 이론이 다른 철학적 세계관과 충분히 공존할 수 있고, 맑시즘이 심리학에게 하는 요구에 가장 부합된다고 말한다.

 

· 현대 심리학의 주요 경향 (실험 심리학과 객관적 심리학)

At the present time, both in Europe and here in the USSR, two trends in the study of the psychical life of humans and animals are engaged in spirited controversy. This is the controversy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psychology. (18p)

대표적 주관적 심리학으로는 실험 철학(Experimental Psychology)을 들 수 있고 객관적 심리학은 반사학(Reflexology)과 미국에서 유행하는 행동주의(Behaviorism)을 들 수 있다. 주관적 심리학과 객관적 심리학을 결정짓는 것은 인간의 두 가지 심리 생활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달려있다. 인간의 두 가지 심리 생활은 생각, 감정, 욕구 같은 정신적 경험과 타 유기체에 반응하는 외적인 표현을 말한다. 전자는 주관적 심리학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물론 이제는 외적인 표현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순수한 주관적 심리학자는 없다. 외적이고 객관적인 관찰에 의해 보충되고 조절되는 이 주관적 심리학을 실험이라는 의도적인 장치로 풀어내는 것을 실험 심리학이라고 한다. 하지만 실험자의 관찰보다는 피 실험자의 자기 관찰이 더욱 중요시되기 때문에 실험 심리학은 내적 체험을 중시하는 주관적 심리학인 것이다.

반면에 실험 심리학이 중시하는 내적 체험에 의심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을 객관적 심리학자라고 부를 수 있다. 이들은 피 실험자의 내적 체험이 실험자의 외적 이해의 진실성과 일관성을 위태롭게 한다고 문제 제기한다. 이들은 삶에서 의미를 가지는 모든 것은 외적인 물질적인 양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순수한 물질적 변화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순수한 물질적 양이 행동이라는 것을 만든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 행동만이 심리학의 연구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생각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험 심리학이 중시하는 내적 관찰은 심리학의 객관성을 파괴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객관적 심리학자들도 실험의 도움을 받는다. 하지만 그들은 피 실험자의 내적 관찰도 외적 관찰의 언어로 번역하여 통일성과 진실성의 약화를 방지한다.

내적 체험을 외적인 경험으로 바꾸는데 부합되는 것은 언어이다.

 

Verbal reaction is a phenomenon of the highest complexity.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1. The Physical sound of articulated words;

2. Physiological processes in the nervous system and in the organs of speech and perception;

3. A special set of feature and processes that correspond to the "meaning" of a verbal state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at meaning by another person or persons. (21p)

여기서 중요한 요소는 세 번째이다. 이것은 생리학적 유기체의 한계의 초월과 유기체 간의 상호 작용을 수반하는 사회학적인 특징을 띈다. 이 상호 작용에서 수반되는 시각, 운동, 청각 반응의 연결은 지극히 객관적이다. 이는 이 연결을 형성하는 방법과 수단이 외적 체험과 연구의 객관적 방법을 원칙적으로 받아드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언어적 특징은 외적 발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내적 발화도 포함이 된다. 내적 발화도 물질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객관적 심리학자들은 피 실험자의 내적 체험을 외적이든 내적이든 언어적 등가물로 대치할 수 있다면 외적·물질적 경험의 진실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 심리학에 대한 맑시즘의 요구

Marxism is far from denying the reality of the subjective-psychical. Such a thing does exist, to be sure, but under no circumstances can it be divorced from the material basis of the organism's behavior. (21~22p)

심리적인 것은 유기체가 갖는 특성 중 하나에 불과하다. 그래서 그것을 물질과 대등하게 대치시킬 수 없다. 반대로 물질의 조직화와 복잡화를 통해 심리적인 것이 생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 자체가 물질적이다. 이런 점에서 맑시즘은 객관적 심리학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맑시즘(변증법적 유물론)은 객관적 심리학자조차도 의식하지 못한 중요한 요구를 한다. 인간 심리학은 사회학화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 삶의 모든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행위는 사회적 환경의 조건에서의 자극을 통해 일어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내적 발화 때문에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언어적 반응의 형성도 사회적 환경의 조건에서만 가능하다. 그래서 심리학은 객관적 방법뿐 만아니라 사회학적인 방법을 통하지 않고는 불가능한 것이다.

 

· 정신분석학과 맑시즘

Freudians, as indeed Freud himself, look upon the Freudian doctrine as the first and only attempt at constructing a truly objective, naturalistic psychology. (22p)

그리고 러시아 심리학, 철학 저작들은 프로이트의 의견에 동조하고 정신 분석학이야말로 맑시즘의 요구에 가장 부합되는 이론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객관적 심리학과 맑시즘 대표자들이 이에 다른 의견을 내기 시작하였다. 이런 반론은 그것의 논지를 더욱 명확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데 객관적 심리학이 특히 조심해야 할 위험이 있다. 이는 순진한 기계론적 유물론이다. 이는 자연과학보다는 생물학, 특히 심리학에서는 재앙이 될 수 있다.

 

The fact is that critical analysis of Freud's psychological theory will bring us directly in contact with precisely the issue that is of utmost importance and difficulty in human psychology-the issue of verbal reactions and their meaning in human behavior as a whole. (23p)

성적인 영역에서 많이 설명하는 프로이트는 이런 어려움을 의식과 무의식의 갈등으로 해석을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충분한 예를 제시함으로서 자신의 이론을 강화시킨다. 하지만 그는 모든 현상의 사회학적인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것들을 개개인의 유기체와 심리라는 협소한 테두리로 가두려 했다. 이 세상의 모든 현상은 이데올로기를 낳는다. 이것은 사회적 진공상태에서는 나올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그 성질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외적인 객관적 관점을 끝까지 유지하지 않고 자기 관찰적·주관적 관점으로 현상을 설명하려 했다.

 

· 중립성과 프로이트주의

From what we have already said by way of preliminary orientation, the reader can cleary see that the psychological, that is, the technical-scientific, side of Freudianism is by no means neutral with respect to its general ideological and class position-a position so vividly expressed in its basic philosophical motif. (25p)

이런 프로이트주의의 비중립성과 마찬가지로 모든 개별 과학의 중립성은 불가능하다. 모든 과학적 이론은 세계관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다시 말해 계급투쟁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과학적 이론의 주체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계급투쟁에서 집단이 갖는 기본 입장을 대변하게 된다. 그런 면에서 이론은 그것이 반영하는 객체뿐만 아니라 그것을 인식하는 주체를 반영하는 양면 거울 같은 것이다. 마찬가지로 프로이트주의의 이 양면이 동시에 연구되어져야 한다.

 

by 그루브21 2014. 12. 5. 17:15

 

꿈에 대한 일반적인 관념은 꿈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고 무질서해 의미 없는 것으로 터부시되거나 혹은 반대로 인간의 인식을 벗어나는 초월적인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런 극단적인 평가는 꿈에 대한 연구가 너무 비과학적으로 접근했다는 것에서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더딘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한 사람은 프로이트였다. 프로이트는 수많은 정신병 치료의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꿈의 내용을 접했고 오랜 연구를 통해 질서 없어 보였던 많은 개별적인 꿈들이 하나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고 발견하였다. 그것은 소망 충족이라고 프로이트는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꿈의 내용은 왜곡되고 억제되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이 소망 충족의 발현이라는 것을 쉽게 알아챌 수가 없었다. 그렇다면 꿈은 왜 왜곡되고 억제되는 것일까? 이는 낮 동안의 의식이 밤에도, 즉 꿈속에서도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다만 그 낮 동안의 의식의 힘이 약해져 꿈이라는 왜곡된 형태로나마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낮 동안에는 의식과 전의식에 의해 억압되었던 무의식이 암시적이고 상징적으로 나타난다고 프로이트는 말하고 있다.

이제까지 인류의 역사동안 무시되어왔던 무의식이 프로이트에 의해 등장하게 되었고 이제는 심리학의 일부가 아닌 심리학 그 자체로 인정받게 되었다. 의식적인 것은 무의식의 배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표면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무의식이라는 빙산의 일각이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로이트는 꿈은 과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그 과거를 통해 연결된 미래를 만난 수 있다고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꿈은 어떤 소망을 충족된 것으로 보여주면서 우리를 미래로 이끈다. 그러나 꿈을 꾸는 사람이 받아들이는 이 미래는 결코 깨지지 않는 소망에 의해 과거와 닮은 모습을 띨 수밖에 없을 것이다.”

by 그루브21 2014. 2. 18. 20:0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