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에 대해 현실적인 방법으로 그것에 도전하려고 하지 않는다.
현실을 보고 무엇을 어떻게 할지 명확히 해야하는데 현실에서 언제나 도망가려고 한다. 문제를 정확하게 보려고 하지 않는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처음부터 현실을 보는 눈을 가지고 한발 한발씩 앞으로 나아가며 배우는 과정을 즐기는 것을 알고 있다."
 
재즈 피아니스트 빌 에반스 인터뷰 내용이다.

우리들은 어떤 일상을 살고 있을까?
우리들은 일상을 어떤 것으로 채우고 있을까?
'일상은 자신의 삶은 유지시키지만 한편은 자신의 삶을 파멸시킨다.' 라는 말이 있다.
인간은 한편으로는 그 자체가 독창적이고 주체적인 존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사람의 주위 환경, 그 사람의 일상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
인간은 누구나 금이 될 수 있는 옥석과 같은 존재지만 누구나 금은 되지 않는다. 금이 될 수 있는냐의 문제는 그 사람의 습관, 다시 말해서 일상의 결과물일 것이다. 그런데 그 일상이라는 것은 그 사람의 의지만큼이나 주위 환경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맹모삼천지교라는 말이 있듯이 사람들은 옛부터 좋은 환경을 중시해 왔다. 그러나 환경이라는 것이 자신의 의지대로 자신에 맞게 자신에 좋은 영향을 끼치게 바꾸는 것이 싶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오히려 자신이 주위 환경에 맞추는 경우가 훨씬 많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책이나 음악은 큰 장점을 지닌다.
의지만 있으면 책이나 음악을 통해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사람들의 말과 생각,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위의 빌 에반스의 인터뷰와 같이 그 사람이 이미 죽은 사람일지라도 지금 현재를 살고있는 우리들의 인생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가르침을 줄 수 있다. 빌 에반스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위의 말을 들으면 충분히 감흥을 일으킬 수 있겠지만 그의 인생이나 음악을 알고 있으면 그의 말이 어떻게 그의 인생을 변화시켰고 그의 음악을 완성했는지 조금 더 알 수 있게 되어 더욱 더 큰 감동을 받을 수 있다. 누구나 멋지고 감동적인 말을 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실체화시키는 이는 아주 드물 것이다.
지금 살아있는 자도 언젠가 모두 죽은 자가 될것이다. 그러나 죽어도 나의 생각과 감성은 죽지않고 세상에 살아있을 수 있다. 이는 우리가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다.
by 그루브21 2013. 6. 18. 15:37


자꾸 서양에 대한 동경이 생긴다
예술, 철학, 인물....
박제가, 이익보다 헤르만 헤세, 드뷔시에 관심이 간다.
익숙함에 대한 친숙함일까....
우리 역사보다 서양의 역사가 친숙한 것은 아이러니다.
by 그루브21 2013. 6. 17. 16:22



아주 좋아하는 만화는 아니었지만 그림체를 좋아해서 따라 그리곤 했었다.

by 그루브21 2013. 6. 17. 15:59

 The New Jazz Band at 청계천


by 그루브21 2013. 6. 16. 15:09


오늘의 태양은 참으로 아름다웠다.
by 그루브21 2013. 6. 16. 07:45
Rush 의 FreeWill
You can choose a ready guide in some celestial voice. 
If you choose not to decide, you still have made a choice. You can choose from phantom fears and kindness that can kill; 
I will choose a path that's clear- I will choose Free Will. 

인간은 지구에 존재하면서 진정코 인간이라면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고민해왔습니다. 그래서 도덕이 만들어지고 종교가 나타나고 철학이 생성되게 됩니다. 사람들은 이 도덕과 종교, 철학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인간으로 태어나면 마땅히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모델들을 만들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런 도덕, 종교, 철학같은 인간이 만든 본질들이 인간의 실존을 위협하게 만듭니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 만든 무수히 많은 개념들이 인간의 행동과 사유를 방해하고 간섭함으로써 원래 태어남과 동시에 가졌던 인간이라는 실존를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에서 원하는 인물상을 사람들에게 강요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른 것이 아니라 틀린 것으로 비난해 그 사람이 자기의 실존을 구현하지 못하게 한다. 피카소의 말처럼 모든 아이들은 예술가이지만 문제는 자란난 후에도 예술가로 남느냐다 라는 말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한 개인의 문제는 사회 문제가 되고 한 국가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조선이 결국은 일본의 식민지로 전략한 것도 본질이 실존을 망친 결과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조선이라는 나라를 유지하고 통치하는데 유교의 공자가 유용하게 쓰였지만 이는 또 다른 사상과 생각을 탄압하는 구실로도 쓰였다. 그래서 점점 더 국가가 폐쇄적으로 되고 세계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나라를 빼앗기게 되었다. 다시 말해 공자라는 본질이 조선이라는 실존을 멸망하게 만들었다.
엄밀히 말해 위의 노래에서 말하는 자유 의지가 존재하지 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사람들은 자기가 자신만의 자유 의지에 의해서 자신의 삶을 조정하고 만들어 가고 있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자유 의지가 아닌 이미 만들어진 세상의 의지를 자신이 선택한다는 것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인 것입니다.
또 사람들은 겉으로는 자유를 외치지만 내적으로 어느 정해진 테두리가 존재하길 원하고 표준적인 행동과 사상을 제시하는 바이블을 원해 왔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어떠한 본질을 알고 싶어하지만은 왜 그러한 본질이 만들어졌는지 알고 싶어하는 것을 귀찮아하고 좀 더 쉬운길을 찾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아이들이 세상을 좀 더 본질적으로 탐구하려고 합니다. FreeWill 은 단지 자유로운 의지가 아니라 좀 더 자유로운 생각, 행동에 대한 의지로 재해석해 자신의 실존의 자유를 위해 자신을 채워왔고 지탱해왔던 도덕, 사상, 생각들을 비우고 세상을 새롭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by 그루브21 2013. 6. 15. 11:10


20년전 중학생이던 난 은하영웅전설이라는 소설에 빠져 있었고 지금은 잘 안마시는 홍차를 즐기곤 했었다 ㅎㅎ
그리고 만화가를 꿈꾸며 열심히 모작하곤 했었다 ㅎㅎ
by 그루브21 2013. 6. 14. 10:51
by 그루브21 2013. 6. 14. 10:34